반응형

파일 포맷 종류

카메라에서 8bit와 16bit는 무엇일까?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되는 데이터에서 CCD의 수광소자에서 반응한 빛 에너지를, 필름에서는 잔상에 흑화는 형태로 저장했지만 디지털 신호로 변화된 신호는 어둡고 밝은 단계를 어느 정도에 단계로 저장하느냐에 따라서 백과 흑의 1bit 신호(2의 1승)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흰색(2의 2승), 연회색, 진회색, 검정 4단계로 저장하는가에 따라서 사진의 계조 표현과 저장 용량이 달라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계조라는 것은 색의 농도의 차이를 단계별로 표현한 것을 말하는데, 이 계조가 적을수록 중간색이 적어 화질이 떨어집니다. 높은 bit의 이미지로 저장하면 디테일이 높고 풍부한 색의 농도를 가진 사진을 가질 수 있으나 그만큼 용량이 커서 저장용량이 증가하고 용량이 증가할 경우 처리 속도가 느려지면서 호환성이나 기술적인 숙련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어디에 쓰이느냐에 따라 저장 형식도 달라질 수 있고 사용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사진에서 해상도를 사용하는 장치

 

사진에서 해상도를 사용하는 곳으로는 프린터, 카메라, 모니터 등 장치에서 활용할 수 있는데 보통 사진의 해상도의 경우 단위면적 당 도트, 픽셀의 수를 나타냅니다. 도트 혹은 픽셀이라고 하며 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어 도트 그림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에서는 1인치 즉 2.54cm에서 사용되는 픽셀 수를 나타내며 모니터의 세밀한 정도를 표현하는 용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진 작업을 하다 보면 이미지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경우 모니터를 사용해서 작업하는데, 모니터 해상도의 단위는 PPI 또는 도트 피치로 표시하고, 인쇄물 출력에서 쓰이는 경우에는 DPI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예시로 72DPI라는 것은 1인치 안에서 1/72 크기의 점이 72개 들어간다는 뜻을 말합니다. 해상도의 경우 단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점으로 이미지를 구현하기 때문에 더 디테일하게 표현이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른 파일 포맷

보통 이미지를 저장할 경우 파일의 사용 목적과 특성에 따라서 저장하는 방식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벡터와 비트맵 방식이 있습니다. 벡터는 산술적인 데이터로 기울기, 선의 구성, 위치로 저장하는 방식을 말하고, 비트맵의 경우는 점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말합니다. 어떤 파일 포맷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JPG
가장 흔히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 정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손실 압축 방식의 표준 파일을 말하는데, 파일 크기가 크지 않아서 웹에서 보통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파일 형식의 특징으로는 대부분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형식으로 소프트웨어 호환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으며, 파일 내부에 촬영 날짜, 모델명, 시간 등 같이 저장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 G, B 각각 8비트의 컬러로 2의 24승 16, 777, 215 트루컬러 색을 구현할 수 있고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해서 저장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압축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지만 파일 저장 시 이미지 손실이 발생하므로 보통 그래픽 작업을 할 경우 JPG 파일 보다는 PNG로 많이 저장합니다.

 

PNG

비 손실 압축파일 포맷으로 움짤로도 많이 사용되는 GIF와 비슷한 파일 포맷을 말하는데, 인덱스 컬러를 사용하지 않고 24비트 이미지를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투명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알파채널을 지원하고 GIF보다 압축률이 높습니다.

GIF
웹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일 포맷으로 이미지 전속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비트맵 형태의 비 손실 압축파일 포맷을 말합니다. 요즘에는 움짤로도 많이 쓰이고 있는 파일 포맷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색이 최대 256색으로 제한 되어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사진과 같은 연속계조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용량이 작고 움직이는 이미지의 경우는 256개의 인덱스 컬러로 표현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해 다중 프레임 애니메이션이나 배너 광고에서 많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AW
생으로 가공하지 않은 디지털 이미지를 말하는데, 디지털카메라에서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은 파일로 사진 파일이라고 말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으며, 가시적인 이미지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변환과정을 거칩니다. 변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은 바로 사용하는 것보다 불편하고 호환성이 떨어지며 용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런데도 이 포맷을 사용하는 이유는 화질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AW 파일의 경우 12비트나 14비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변환 소프트웨어를 통해 섬세한 조절이 가능하고, 무압축 또는 무손실 압축방식으로 저장되는데, 변환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마이크로 소프트 사와 앨더스 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이미지 저장형식으로 TIFF 태그가 붙은 이미지 파일 포맷이라는 뜻으로 무손실 압축 방식의 파일 포맷을 말합니다. 화질에 영향을 안 주는 압축방식인 LZM 압축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데, 8비트 외에 높은 비트의 이미지 소프트웨어 또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파일의 용량이 커서 작업 속도가 느리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만, 고화질의 사진 작업에서는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는 점차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PSD
포토샵에서 사용하는 파일 포맷을 말하며 포토샵에서 사용하는 채널, 작업 과정, 레이어 등을 모두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을 말합니다. 다만 포토샵 이외의 프로그램에서는 호환성이 좋지 못하므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1···168169170171172173174···19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