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메라6 사진의 발명과 대표적인 발명가 카메라는 빛을 이용해서 그림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기록하는 도구인데, 이때 촬영되어 만들어진 이미지를 사진을 하는데 사진은 언제 어떻게 발명이 되어 널리 퍼지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진의 탄생 사진이 세상에 나온 것은 19세기로 사진이라는 명칭은 포토그래피라는 그리스어에서 기원이 되었습니다. 사진이 발명되기 이전에도 빛을 평면에 투영하려는 시도가 있고 이미 진행 중으로 그 사례가 되는 것은 카메라 옵스큐라라는 장치가 있었습니다. 카메라 옵스큐라라는 것은 어두운 방에서 한쪽 벽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반대편 벽에 외부 전경의 역상이 맺히게 하는 장치였는데 현재 사용하는 카메라처럼 빛을 물체에 정착하는 기능은 없었습니다. 당시에 여러 가지 선이나 색채로 평면에 형상을 그려내는 조형 미술인 회화의 보조적인.. 2022. 9. 25. 카메라의 해상도와 파일 포맷은 어떤 것이 있을까? 카메라에서 8bit와 16bit는 무엇일까?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되는 데이터에서 CCD의 수광소자에서 반응한 빛 에너지를, 필름에서는 잔상에 흑화는 형태로 저장했지만 디지털 신호로 변화된 신호는 어둡고 밝은 단계를 어느 정도에 단계로 저장하느냐에 따라서 백과 흑의 1bit 신호(2의 1승)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흰색(2의 2승), 연회색, 진회색, 검정 4단계로 저장하는가에 따라서 사진의 계조 표현과 저장 용량이 달라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계조라는 것은 색의 농도의 차이를 단계별로 표현한 것을 말하는데, 이 계조가 적을수록 중간색이 적어 화질이 떨어집니다. 높은 bit의 이미지로 저장하면 디테일이 높고 풍부한 색의 농도를 가진 사진을 가질 수 있으나 그만큼 용량이 커서 저장용량이 증가하.. 2022. 9. 23. 카메라, 빛의 종류에 다른 부분 태양은 자외선, 적외선, X선, 감마선, 우주선, 라디오파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합니다. 사진에 주로 사용되는 빛은 태양이 방출하는 전자파 중 약 400mm에서 700 mm 정도의 가시광선입니다. 가시광선이란? 빛의 양은 빛을 이루는 광입자가 양이 많고 적은 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빛의 양이 많으면 밝고 빛의 양이 적으면 어둡습니다. 빛의 질은 다양한 색깔 (RGB) 파장으로 이루어진 비율이 어떠한가에 따라 결정되는 데 이러한 것을 연색성이라고 부릅니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태양광과 유사한 빛 즉 이상적인 빛, 가시성 높은 빛이라 합니다. 연색지수라는 것은 인공 광원이 기준 광과 비슷하게 물체의 색을 보여주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를 말하며 연색지수 100에 가까울수록 색이 고루 자연스럽게 보입니다... 2022. 9. 8. 카메라 렌즈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종류에 대해서 렌즈의 구조와 원리 빛을 투과 ·반사 ·분산시키면서 빛을 촬상소자에 전달하는 도구로 대개 유리 혹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집니다. 렌즈는 빛을 모아주는 볼록렌즈와 빛을 오목하게 퍼지게 하는 오목렌즈로 구성되어 상을 형성합니다. 렌즈에는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초점 링, 줌렌즈에는 줌 정도를 조절하는 줌 링, 조리개의 수치를 조절하는 조리개 링 등 다양한 조절 링이 있습니다. 카메라 렌즈는 여러 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빛을 모으고 상이 맺는 곳을 만들어 CMOS) 면에 선명한 화상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를 말합니다. 렌즈의 밝기는 렌즈가 얼마나 빛을 잘 받아들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인데 보통 빛을 잘 받아들일 수 있는 밝은 렌즈를 선호합니다. 이러한 밝은 렌즈가 되려면 초점거리가 짧고, 구경이 클수록 더 밝.. 2022. 9. 7. 카메라에서 노출과 노출에 영향을 주는 것 카메라의 노출 필름 혹은 촬상소자에 빛이 들어가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노출은 4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이는 소형, 중형, 대형 카메라 모두 동일합니다. 촬영하고자 하는 공간의 빛이 밝으면 사진이 밝게 나올 것이고 공간의 빛이 적으면 어둡게 나옵니다. 또한 조리개가 열려 있으면 빛이 많이 들어올 것이고, 조여 있으면 빛이 적게 들어올 것입니다. 셔터 스피드로 셔터를 통해 들어오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진을 많이 촬영하면 찰칵 소리가 들리는데 셔터 스피드가 빛의 양을 조절하는 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도는(ISO) 필름 혹은 촬상소자가 빛에 대해 민감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감도의 수치가 높으면 빛에 대해 민감한 것을 의미하고, 수치가 낮으면 덜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합.. 2022. 9. 7. 카메라의 기원 및 구조 카메라 원리의 기원 카메라 옵스큐라 원리는 기원전 4세기경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22~384) 시대로부터 알려져 있습니다. 카메라 옵스큐라('어두운 방' 이라는 뜻) 또는 암 상은 그림 등을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해 발명한 광학 장치로, 많은 화가가 이 기술을 사용해 그림을 그렸는데요. 카메라 옵스큐라 원리는 어두운 방에서 장은 구멍을 통해 들어온 빛이 초점면에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서 들어온 빛은 좌우 ·상하가 역상으로 표현됩니다. 작은 구멍에 렌즈를 설치하고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설치하는 발전을 거듭하여 지금의 카메라 기원이 되었습니다. 카메라 옵스큐라 원리는 바늘구멍사진기로 이어지면서 본격적인 사진기로 이용이 되었습니다. 바늘구멍 사진기, 혹은 핀홀 .. 2022. 9.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