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툰렌더링을 이용한 의자 작업

카툰 렌더링이란?

카툰 렌더링은 3D 그래픽을 이용해서 2D 그래픽의 느낌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그래픽 인물이나 배경, 소품을 3D로 작업하지만, 최대한 3D 느낌이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카툰 렌더링을 툰 셰이딩, 셀 셰이딩, 셀 셰이든데 렌더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서 리얼한 그림체를 실사와 같은 느낌은 원하는 것과 반대로 만화의 느낌이 날 수 있도록 뚜렷한 외곽선이나 지극히 단순화된 색감과 그림자로 렌더링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미지로 보기에는 간단해 보이지만 3D의 모델링을 2D 느낌이 나도록 바꿔주는 노드가 추가로 필요하며, 블렌더에서는 Crease Pencil을 사용하는데, 오브젝트가 많아질수록 작업 속도가 더뎌지는 경향이 있어서 최적화되어 일반 컴퓨터에서 쓰이기 전까지는 시간이 약간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작업한 카툰 렌더링을 보면 색감이 단순하고 전체적인 얼굴 기반이 최대한 단순한 형태로 되어있어 작품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는 드는 시간과 사양 대비 낮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카툰 렌더링의 특징 

첫 번째로는 비사실적인 렌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 NPR)이라는 것입니다. 실제 사진 기반, 혹은 물리 기반 렌더링(Physical Based Rendering)을 사용하지 않는 CG 스타일로 반대되는 용어로는 물리 기반 렌더링 (Physical based rendering, PBR)이 있는데, 즉 현실 기반의 렌더링 방식을 말합니다. 비사실적인 렌더링은 회화나 만화, 드로잉과 같은 현실 같지 앟은 인공적인 양식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경사면에서 자연스럽게 색감이 퍼지는 느낌이 아닌 단조롭게 음영을 표현한다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흰색, 회색, 검은색 3단계로 나뉘게 되는데, 하나가 더 추가될 경우에는 회색 2개로 늘어나서 흰색, 밝은 회색, 어두운 회색, 검은색 이렇게 나뉘기도 합니다. 실제로 사용이 될 경우에는 베이스 컬러에 첫 번째 그림 자색과 두 번째 그림자 색 이렇게 3단계로 나눠서 씁니다.

 

세 번째 3D 형체에 외곽선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실루엣에 외곽선을 그려주거나 3D 프로그램 중 블렌더에서는 Grease Pencil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외곽선이 생기도록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외곽선이라는 것은 오브젝트가 끝나는 부분에 생기는 선뿐 아니라 원하는 부분에 선이 생기도록 해주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입이나 코 부위에 선이 생기도록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외곽선은 UV를 편 후 끝 라인에 맞춰 그려주는 경우와 실시간 렌더링으로 해서 움직임에 따라 외곽선이 달라지게 만드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첫 번째의 경우는 바라보는 방향과 오브젝트를 변형하게 되면 맞지 않는 부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애니메이션처럼 움직임이 있는 경우는 두 번째를 사용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실시간으로 변형에 맞도록 외곽선이 생기므로 계산하는 시간이 걸려 컴퓨터 사양이 낮고 오브젝트가 많을 경우는 작업 시간이 더디거나 아예 작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추가로 블렌더에서 작업하는 경우 카메라가 보이는 방향으로 외곽선이 생기므로 Grease pencil을 켰는데 보이지 않는 경우는 카메라를 세팅해주시면 오브젝트 외곽에 선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네 번째 표정을 표현하기 위해 데를 메 포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2D 애니에서 특징은 옆에서도 입 모양이 동그랗게 보이기도 하고 앞에서 볼 때가 아닌 측면에서 봤을 때 어색한 부분이 많아 옆에서 따로 키를 잡아 놓기도 하는데, 이때 사람의 움직임으로 나올 수 없는 형태로 변형이나 왜곡이 들어갑니다. 데를 메 포라는 것은 미술이나 회화에서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일부 변형, 왜곡, 축소를 기법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카툰 렌더링을 이용한 대표적인 작품

카툰 렌더링의 사용하여 만든 게임의 경우에는 길티기어 시리즈 Xrd, STRIVE, 제 2의 나라, 젤다의 전설 시리즈, 원신, 마비노기, 바람의 검신, 아이돌 마스터, 원피스 해적무쌍 시리즈, 카트라이더  등이 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많은 게임에서 카툰 렌더링을 사용하였으며, 게임마다 그 특성에 맞도록 작업하여 사용하였으며, 게임 뿐 아니라 애니메이션에서도 많이 쓰였는데, 애니메이션 중에서 유명한 작품으로는 개구리 중사 케로로, 러브라이브 중 공연씬 한정, 명탐정 코난(일부), 아인,언더 독 등에서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애니메이션에서는 아이돌 애니메이션 공연 하는 장면에서 많이 사용이 되는데, 그 이유는 단체 안무 장면이 비중이 크고 실제 촬영처럼 여러 각도에서 촬영을 한 연출법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애니메이션은 3D 모델링을 사용했을 경우 어색한 부분이 있어서 일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기계나 자동차 부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블로그 내 같이 보면 좋은 글

[3D program/Blender] - [Blender] 카툰 렌더링_상자만들기

 

 

반응형
1···164165166167168169170···19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