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판타지 속 요정 이미지

 

판타지 속 난쟁이 이미지와 가장 알맞은 캐릭터

 

노움 

땅의 정령으로 요정과 난쟁이의 일종으로 호빗과 비슷한 외형에 드워프의 특성이 합쳐진 캐릭터를 말합니다. 성격은 한군데 가만히 있지를 못하고 어수선하며, 호기심이 많은 종족으로 새로운 것을 발견하면 여러 가지를 만들어보고 실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들의 특징 첫 번째는 의학적으로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의료 지식으로 이들은 경제활동을 하는데, 보통은 의료길드를 만들어 인간들을 가르치며 돈을 벌기도 합니다. 그다음으로 두 번째 특징으로는 급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물품을 상용화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람들이 다치고 죽는 상황을 발생하게 합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오히려 그 사람이 불운했다고 대부분의 노움이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노움의 상품을 사용하는 이유는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기 좋은 실용성이 높은 물건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만드는 물건 줄에서도 특히 무기를 만드는 부분에서는 평균적인 기술력으로 따라잡을 수 없는 초월적인 기술력인 오버 테크놀로지 수준의 상품이 많아 위험성을 인지하면서도 찾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판타지 속 요정의 이미지와 가장 가까운 캐릭터

페어리

요정이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요정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이 생각하는 전형적인 요정의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를 말합니다. 소인의 모습으로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나비의 날개가 달린 작은 인간의 형태의 요정을 떠올릴 수 있으며, 대표적인 캐릭터는 피터 팬의 팅커벨과 베르세르크의 파크에 나오는 캐릭터를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여신이나 다른 특별한 존재들과 함께 다니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주인공 옆에 따라다니는 캐릭터로 많이 등장합니다. 페어리의 특징으로는 장난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지나치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일들 또한 페어리는 장난이라고 생각하고 뒷일 생각은 전혀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지르는 일들이 많습니다. 소설이나 영화 등 이들이 등장하는 부분에서 대부분 작은 소년의 모습으로 등장하고 이들이 움직일 때 날개에서 가루를 흩날리는 모습으로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묘사가 많이 되고 있으며, 보통 마법을 사용하지 못한다고 나오지만, 예외적인 경우에는 상대를 마취하거나 이성을 매혹하는 힘을 가지기도 합니다. 

 

반응형

동물의 특성을 가진 캐릭터

 

수인족

동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종족으로 토끼 수인이라고 하면 토끼 귀를 가지고 있다거나 토끼의 특징을 가진 능력을 갖추고 있는 캐릭터를 말합니다. 자신의 의지로 특정 동물의 힘을 끌어내거나 해당 동물로 변형할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의 경우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발현되는 형태로 라이컨슬로프과 같이 감염되어 변한 캐릭터와는 다릅니다. 이런 수인족의 경우 동물의 모습으로 등장하며, 동물마다 특징을 살린 성격으로 많이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견인 족인 경우 충성을 맹세한 상대에게는 배신을 하지 않고, 냄새를 잘 맡는 특징을 살려 경비원이나 호위로 배치되어 주인공이 숨어들었을 때 냄새를 맡아 확인하러 가는 장면에서 많이 등장합니다. 하지만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는 수인족은 보통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고, 지위 자체도 낮게 표현이 되기 때문에 노예로 등장하거나 인간에게 멸시받는 캐릭터로 등장하여 자기 종족을 숨기는 일이 많은 설정으로 많이 쓰입니다.

 

 

묘 인족

수인족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지만 따로 다루는 종족으로 고양이의 특성을 가진 종족을 말하는데, 고양이가 가지고 있는 날렵하고 우아한 몸짓과 거만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묘 인족은 특히 고양이가 잘 드러내지 않는 육식 동물의 특유 잔인함과 포악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실에서 고양이는 귀여운 외모에 남에게 관심이 별로 없는 이미지라고 여겨질 수 있지만 호랑이 또한 같은 고양잇과에 속하며, 고양이는 고기를 물어뜯고 찢기 좋은 송곳니를 가진 육식동물입니다. 판타지 소설이나 영화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묘 인족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런 특성을 잘 살린 대표적인 소설로는 쿠베린이 있는데, 여기서 묘사하는 묘 인족은 늘어진 모습의 고양이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누구보다도 잔인하고 모습을 보입니다. 묘 인족은 인간의 모습에 고양이 귀를 가진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아 겉모습으로는 인간과 구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인간을 능가하는 강한 힘과 속력을 보여주며 무기로 사용되는 날카로운 발톱은 예리하고 명검을 능가하는 강도를 가졌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평소에는 일반적인 손톱에 전투 시에만 날카로워진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블로그 내 같이 보면 좋은 글

[3D program] - 3D 모델링으로 만들 수 있는 판타지 몬스터 종류_첫 번째

[3D program] - 3D 모델링으로 만드는 인간과 유사한 캐릭터_작은 키 편

반응형
1···160161162163164165166···19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