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케치업에서 작업한 모델링을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3D 파일 또는 2D 이미지로 내보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스케치업에서 지원하는 내보내기 파일 형식 

 

🔸 2D 파일 형식 (이미지 및 벡터 그래픽)

파일 형식 설명
PDF File (*.pdf) 벡터 기반 파일로 고품질 출력 및 문서 공유에 적합.
EPS File (*.eps) 벡터 그래픽 파일로 주로 인쇄 및 그래픽 디자인에 사용.
Windows Bitmap (*.bmp) 무압축 비트맵 이미지 형식, 품질은 높지만 파일 크기가 큼.
JPEG Image (*.jpg) 압축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웹 및 사진 공유에 적합.
Tagged Image File (*.tif) 고품질 비트맵 이미지 형식, 주로 사진 및 출판에 사용.
Portable Network Graphics (*.png) 무손실 압축 이미지 파일로 투명도를 지원.

 

 

🔸 3D 파일 형식

파일 형식 설명
FBX File (*.fbx) 3D 모델 및 애니메이션 교환 형식으로, Autodesk 소프트웨어 및 게임 엔진에서 널리 사용.
3DS File (*.3ds) Autodesk 3ds Max에서 사용되는 오래된 3D 모델 형식.
AutoCAD DWG File (*.dwg) AutoCAD에서 사용하는 기본 CAD 설계 파일.
AutoCAD DXF File (*.dxf) CAD 소프트웨어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텍스트 기반 형식.
COLLADA File (*.dae) XML 기반 3D 모델 형식으로, 다양한 3D 소프트웨어와 호환.
GLTF Exporter (*.gltf) 웹과 실시간 렌더링에 최적화된 3D 모델 형식.
GLB Exporter (*.glb) GLTF의 바이너리 형식으로, 텍스처와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
Google Earth File (*.kmz) Google Earth에서 사용되는 3D 모델 형식으로, 지리적 데이터를 포함.
IFC2x3 File (.ifc) / IFC4 파일 (.ifc)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교환하는 국제 표준 파일 형식.
OBJ File (*.obj) 널리 사용되는 3D 모델 형식으로, 텍스처와 함께 저장 가능.
Stereolithography File (*.stl) 3D 프린팅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 형식.
VRML File (*.wrl) 가상 현실 모델링 언어 형식으로, 3D 웹 애플리케이션에 사용.
XSI File (*.xsi) Softimage에서 사용되었던 파일 형식으로, 현재는 덜 사용됨.

 


 

스케치업에서 파일 내보내기 (3D 모델링, 2D 그래픽)

스케치업 파일 상단에서 File을 누르면 파일 관련 기능이 나오는데, 이때 중간에 있는 Export 버튼을 누릅니다. 

Export 버튼
Export 버튼

 

 

원하는 파일 형태에 따라 3D Model과 2D Graphic에서 선택합니다.

 

3D Model과 2D Graphic
3D Model과 2D Graphic

 

 

✔ 3D Model 파일 내보내기

3D Model 파일형식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프로그램에서 호환되는 파일 형식으로 내보냅니다. 

 

3D Model 파일형식 선택하기
3D Model 파일형식 선택하기

 

 

💡 Tip:

파일 형식에 따라 옵션 값을 조절한 후 내보냅니다.

옵션값 조절하기
옵션값 조절하기

 

 


 

 

2D Graphic 파일 내보내기

2D Graphic을 내보낼 때는 파일에 쓰임에 따라 선택합니다.

2D Graphic 파일 내보내기
2D Graphic 파일 내보내기

💡 Tip: 

파일 형식에 따라 옵션 값을 조절한 후 내보냅니다.

2D Graphic 옵션조절하기
2D Graphic 옵션조절하기

 

 

옵션 설정이 끝나면 Export 버튼을 누릅니다. 

Export 버튼 누르기
Export 버튼 누르기

 

 


 

TIP

 

1. 파일 형식에 따른 활용도 고려하기

  • STL: 3D 프린팅용으로 주로 사용.
  • FBX/OBJ: 다른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나 애니메이션 작업에 적합.
  • DWG/DXF: CAD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제공.
  • PDF/PNG/JPG: 2D 도면, 발표 자료, 또는 포트폴리오 제작에 적합.

 

2. 내보내기 전 모델 준비

  • 모델 정리: 불필요한 레이어와 컴포넌트를 삭제해 파일 크기를 줄이기.
  • 스케일 확인: 출력하려는 단위(cm, m 등)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 텍스처와 재질: 텍스처가 제대로 매핑되어 있는지 확인.
    **FBX나 OBJ는 텍스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설정 최적화

  • 해상도 설정: 2D 이미지로 내보낼 경우, 고해상도를 선택하여 품질을 유지.
  • 단위 맞춤: STL이나 DWG 파일은 내보내기 전에 단위(Units)를 프로젝트에 맞게 설정.
  • 옵션 활용: 각 파일 형식에는 내보내기 옵션 있어, 필요에 따라 옵션을 세부적으로 조정.

 

 


 

이 블로그 내 같이 보면 좋은 글 

[3D Program/SketchUp] - [SketchUp]스케치업 백업 파일(.skb확장자)

 

[SketchUp]스케치업 백업 파일(.skb확장자)

스케치업 작업을 하다 보면 생기는. skb(확장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kb파일은 SketchUp Backup document로 원본파일과 동일한 폴더에 있습니다. 운영 체제에 따른 백업파일명WindowmacOSFILENAME.skbFI

illuam.tistory.com

[3D Program/SketchUp] - [SketchUp] View 탭 알아보기 (+숨겨진 형상, 숨겨진 개체)

 

[SketchUp] View 탭 알아보기 (+숨겨진 형상, 숨겨진 개체)

작업화면에서 자주 설정을 변경하고 작업하기 편하도록 조절하는 SketchUp View 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View(보기) 탭 도구 모음(Toolbars) 상단에 자주 쓰는 도구를 설정하는 곳 체크 : 상단 도구

illuam.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